맨위로가기

K-19 (잠수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19는 1957년 소련 해군의 건조 명령에 따라 1958년 기공되어 1961년 취역한 소련의 핵잠수함이다. 건조 과정에서 여러 인명 사고가 발생했고, 진수식에서 샴페인 병이 깨지지 않아 불길한 징조로 여겨졌다. 1961년 원자로 냉각 시스템 사고로 다수의 승무원이 사망했으며, 이후에도 충돌, 화재 등의 사고가 이어졌다. 1990년 퇴역 후에는 통신함으로 개조되기도 했으며, 2002년에는 이 잠수함을 소재로 한 영화가 제작되었다. K-19 사건은 핵무기와 핵 기술의 위험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핵 안전과 정보 투명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교훈으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9년 선박 - 상파울루 항공모함
    상파울루 항공모함은 브라질 해군의 주력 항공모함으로, 프랑스 해군에서 운용되다 2000년 브라질 해군에 인수되었으나 화재 사고, 노후화, 과다한 정비 비용 등의 문제로 2018년 퇴역 후 2023년 해상 매립되었다.
  • 1959년 선박 - USS 조지 워싱턴 (SSBN-598)
    USS 조지 워싱턴 (SSBN-598)은 세계 최초의 SLBM 탑재 잠수함이자, 공격 잠수함으로 기공되었으나 탄도 미사일 구획 삽입으로 전략 원자력 잠수함으로 변경되었으며, 폴라리스 미사일 발사 성공, 억지 순찰 수행, 닛쇼마루와 충돌 사고, 그리고 퇴역 후 해체되어 함교가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 핵추진 잠수함 - 원자력 잠수함
    원자력 잠수함은 원자로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며, 장기간 잠항 능력과 강력한 공격력을 갖춘 해양 전력의 핵심으로 자리매김했지만, 스텔스 성능 저하, 핵폐기물 문제, 사고 가능성 등의 과제를 안고 국제 정세 변화에 따라 전략적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 핵추진 잠수함 - 시에라급 잠수함
    시에라급 잠수함은 소련/러시아 해군의 공격형 핵잠수함으로, 티타늄 합금 선체를 사용하여 경량화와 저소음 성능을 달성했으며, 미국 SSBN/SSN 저지를 목표로 개발된 945형(시에라 I급)과 945A형(시에라 II급)으로 나뉜다.
  • 소련의 잠수함 - 시에라급 잠수함
    시에라급 잠수함은 소련/러시아 해군의 공격형 핵잠수함으로, 티타늄 합금 선체를 사용하여 경량화와 저소음 성능을 달성했으며, 미국 SSBN/SSN 저지를 목표로 개발된 945형(시에라 I급)과 945A형(시에라 II급)으로 나뉜다.
  • 소련의 잠수함 - 찰리급 잠수함
    찰리급 잠수함은 1960년대 소련 해군이 개발한 핵추진 순항 미사일 잠수함으로, P-70 대함 미사일을 주무장으로 하여 미 해군 항공모함 기동부대를 공격하는 임무를 수행했으며, 인도에 임대되어 아리한트급 잠수함 개발에 영향을 미쳤다.
K-19 (잠수함) - [배(Ship)]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K-19
1972년 2월 29일 북대서양에서 기능이 정지된 K-19
함명К-19
별칭히로시마
국가소련
함선 이력
건조세브마쉬
기공1958년 10월 17일
진수1959년 10월 17일
완공1960년 7월 12일
취역1960년 11월 12일
퇴역1990년 4월 19일
상태해군 야드 85 "네르파"에서 재활용됨.
비고KS-19 (1979년), BS-19 (1990년)로 개명됨.
함선 제원
함급호텔급
배수량수상: 4,030 톤
수중: 5,000 톤
길이114 미터
9.2 미터
흘수7.1 미터
추진2 × 70 MW VM-A 원자로, 2 기어 터빈, 2축, 39,200 마력
속력수상: 15 노트
수중: 26 노트
항속 거리26 노트에서 32,200 해리
24 노트에서 35,700 해리 (80% 출력)
내구60일 (식량 및 건강 제한)
시험 심도시험: 250 미터
설계: 300 미터
승조원125명 (장교 및 사병)
센서 및 전자전 장비
무장
미사일호텔 I: 3 × R-13 핵탄두 단거리 탄도 미사일(사거리 650 km)
호텔 II: 3 × R-21 핵탄두 중거리 탄도 미사일(사거리 1300 km)
어뢰533mm 어뢰 발사관 4개 (전방)
406mm 어뢰 발사관 2개 (전방)
406mm 어뢰 발사관 2개 (후방)
관련 정보
참고호텔급 잠수함
추가 정보
참고 자료헐리우드 스릴러의 원형 K-19, 해체될 예정
참고 자료«자신의 진실»

2. 건조 및 초기 역사

K-19는 소련 해군의 첫 번째 핵추진 탄도 미사일 잠수함으로, 1957년 10월 16일에 건조가 주문되었다.[1] 1958년 10월 17일 세베로드빈스크에서 기공되었으며, 1959년 10월 11일에 진수되었다.[1] 1960년 7월 12일 최초로 엔진을 가동했고,[2] 1차 해상 시험 가동 중 1차 냉각계 압력이 계획된 최대치의 2배가 되는 사고가 발생했으나 소련 해군은 이를 은폐했다. 1960년 12월 12일 국가 원잠인수 관리위원회는 K-19 수령증에 서명했다.[2]

1960년 11월 12일, 니콜라이 블라디미로비치 자테예프가 초대 함장으로 취임했다.[2]

K-19는 건조 과정과 초기 운용 과정에서 잦은 사고를 겪었다. 건조 중에는 화재로 노동자 3명이 사망했고, 진수식에서는 샴페인 병이 깨지지 않았다.[18] 1960년 12월에는 미사일 발사통 해치가 떨어져 노동자 1명이 사망하고, 조선소 기사가 낙하 사고로 사망했다.[2]

2. 1. 건조 과정

1957년 10월 16일, 소련 해군은 ''K-19''의 건조를 명령했다.[1] 1958년 10월 17일 세베로드빈스크의 해군 조선소에서 용골이 놓였다.[1] 잠수함 건조 과정에서 여러 명의 노동자가 사망했다. 화재로 인해 두 명의 노동자가 사망했고, 이후 물탱크에 고무 라이닝을 붙이던 여성 6명이 유독 가스를 흡입하여 사망했다.[18] 미사일 적재 중에는 한 전기 기술자가 미사일 발사관 덮개에 깔려 사망했고, 한 엔지니어가 두 구획 사이로 떨어져 사망했다.[2]

K-19는 1959년 4월 8일에 진수되었다. 1959년 10월 11일 진수식에서 배에 부딪힌 샴페인 병이 깨지지 않았는데, 이는 진수된 모든 배에서 함수에 샴페인 병을 부딪힐 때 병이 깨지지 않으면 불길한 징조로 간주되기 때문이었다.

1960년 1월, 당직 중인 승무원의 실수로 원자로제어봉이 굽어져 원자로를 분해하여 수리해야 했다.

1950년대 후반, 소련 지도부는 미국을 따라잡으려는 결의를 다지고 핵 잠수함 전단을 건조하기 시작했다. 실제로는 선박 건조 과정에서 안전보다 속도가 우선시되었으며, 이후 해상 시험을 서둘러 실시하여 실전에 투입할 수 있도록 했다.[12] 많은 소련 해군 장교들은 이 함선이 전투에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했지만, 출항을 막기 위한 조치는 취해지지 않았다.[2]

2. 2. 불길한 징조

1959년 4월 8일에 진수되었고, 관례에 따라 남성인 5차 긴급 부대 3급 함장 V. V. 파노프가 함미에 샴페인 병을 깨는 의식을 거행했다. 그러나 병이 깨지지 않고 프로펠러를 따라 미끄러지다가 고무 코팅된 선체에서 튕겨 나와, 해군 승무원들 사이에서 불운의 징조로 여겨졌다.[3]

1960년 1월에는 교대 근무 중 승무원들의 혼란으로 원자로 제어봉이 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로 인해 원자로를 해체하여 수리해야 했으며, 당직 장교들은 해임되고 파노프 함장은 강등되었다.

1960년 7월 12일, 잠수함의 군기가 처음 게양되었다. 이후 7월 13일부터 17일까지, 그리고 8월 12일부터 11월 8일까지 해상 시험을 거쳐 17347km를 항해했다. 1960년 11월 12일에 함선이 완공된 것으로 간주되었다.[2] 전속력 운행 후 부상했을 때, 선체의 고무 코팅 대부분이 떨어져 나간 것이 발견되어 전체 표면을 다시 코팅해야 했다.

최대 수심 300m 잠수 시험 중에는 원자로 구획에서 침수가 보고되었고, 자테예프 함장은 즉시 부상을 명령했다. 잠수함은 물을 들이키면서 좌현으로 기울었다. 이는 건설 과정에서 작업자들이 개스킷을 교체하지 않은 것이 원인이었다. 1960년 10월, 조리실 승무원들이 장비 상자에서 나온 나무를 조리실 폐기물 시스템에 넣어 막히게 했다. 이로 인해 아홉 번째 구획에 물이 3분의 1 정도 찼다. 1960년 12월에는 주 회로 펌프 고장으로 냉각재가 손실되어, 세베로드빈스크에서 전문가들이 파견되어 일주일 안에 해상에서 수리를 완료했다.

1960년 12월 12일, 국가 원잠인수 관리위원회가 K-19 수령증에 서명했으나, 같은 날 미사일 발사통 해치가 떨어져 노동자 1명이 사망했다.

2. 3. 초기 승조원

1960년 11월 12일, 니콜라이 블라디미로비치 자테예프가 K-19의 첫 번째 함장으로 취임하였다.[2] K-19에는 미사일 담당, 원자로 장교, 어뢰 담당, 의사, 요리사, 조리원 등 표준 승무원 외 여러 관찰 장교를 포함하여 총 139명이 탑승했다.

3. 주요 사고

K-19는 건조 과정부터 여러 사고를 겪었다. 1959년에는 밸러스트 탱크에서 작업 중이던 노동자 3명이 화재로 사망했고, 진수식에서는 샴페인 병이 깨지지 않았다.[1] 1960년에는 미사일 발사통 해치가 떨어져 노동자 1명이 사망하고, 조선사 기사가 낙하 사고로 사망했다.[1]

1961년 7월 3일, K-19는 북해 함대 훈련 중 1차 냉각 계통 고장으로 방사능 누출 사고를 겪었다. 이 사고는 영화 《K-19: 위도우메이커》의 소재가 되었다. 승무원들의 희생으로 원자로가 녹아내리는 대형 사고는 막을 수 있었다.[1]

1969년 11월 15일, K-19바렌츠해에서 훈련 중 미 해군 공격원잠 SSN-615 가토와 충돌했다. 이 사고로 K-19는 선수 소나 시스템과 선수 어뢰 발사관 덮개가 손상되었지만, 비상 주 평형수 탱크를 작동시켜 수면으로 부상한 후 항구로 돌아왔다.[1]

1972년 2월 24일, K-19는 뉴펀들랜드 섬에서 1300km 떨어진 수심 120m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28명이 사망했다. 40일 이상 지속된 구조 작전에는 30척 이상의 선박이 동원되었다.[1] 이후에도 1972년 11월과 1978년 11월에 화재 사고가 발생했다.[2]

3. 1. 1961년 원자로 사고

1961년 7월 4일, 니콜라이 블라디미로비치 자테예프 함장의 지휘 아래 K-19그린란드 남동쪽 해안 근처 북대서양에서 훈련을 수행하던 중 원자로 냉각 계통에 문제가 발생했다. 현지 시각으로 04:15에 우현 원자로의 냉각 시스템 압력이 0으로 떨어졌고, 원자로 냉각 시스템의 대규모 누출로 인해 냉각 펌프가 고장났다. 설상가상으로 고주파 무선 시스템마저 고장 나 모스크바에 지원을 요청할 수 없었다. 제어봉은 비상 스크램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삽입되었지만, 원자로 온도는 핵분열 생성물의 붕괴열로 인해 800°C까지 치솟았다.[22]

자테예프 함장은 원자로 폭주가 핵폭발로 이어질 것을 우려하여[24] 공학 부서에 긴급 수리를 지시했다. 이들은 통풍 밸브를 잘라내고 급수관을 용접하는 임시 냉각 시스템을 구축해야 했으며, 이 과정에서 장기간 방사선에 노출되었다. 이들의 희생 덕분에 임시변통 냉각수 시스템은 원자로 온도를 낮추는 데 성공했다.[12] 그러나 수리를 마친 요원들은 끔찍하게 붉게 달아오르고 부어오른 얼굴로 비틀거리며 구토를 반복했다.[25]

자테예프는 승무원 반란을 우려하여 가장 신뢰하는 장교 5명에게 권총을 지급하고 나머지 소형 무기를 모두 버리도록 했다. 한편, K-19의 저전력 비상 전파를 감지한 디젤 잠수함 S-270이 합류했다.

근처의 미국 군함도 전파를 감지하고 도움을 제안했지만, 자테예프는 소련 군사 기밀 유출을 우려하여 거절하고 S-270과 합류, 승무원을 대피시키고 K-19를 본기지로 예인했다.

3. 1. 1. 사고 원인

정부 공식 조사에 따르면, 사고는 초기 건조 중 발생한 잘못된 용접 때문이었다. 조사 결과, 1차 냉각 시스템 배관 설치 과정에서 용접공이 좁은 작업 공간 때문에 노출된 파이프 표면을 석면 방울 천으로 덮지 않았다. 이는 용접 불꽃으로부터 파이핑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였다. 용접 전극에서 떨어진 방울이 보호되지 않은 표면에 떨어져 보이지 않는 균열을 만들었고, 이 균열은 장기간의 강한 압력(200atm)에 의해 파이프의 무결성을 손상시켜 결국 고장을 일으켰다.[6]

다른 견해도 존재한다. 은퇴한 해군 소장 니콜라이 모르물은 원자로가 처음 육상에서 가동되었을 때, 건설팀이 1차 냉각 회로에 압력 게이지를 부착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이 때문에 아무도 문제를 인지하지 못한 채 냉각 파이프는 허용 한도의 두 배인 400기압의 압력을 받았다는 것이다.

K-19의 건조 기간 중 초기 단계에서 이루어진 수리 작업에서, 우현 원자로의 주요 냉각 회로 안에 용접봉 조각이 떨어진 것이 사고의 원인이었다.[22] 누출은 1차 냉각 순환 계통 내 압력을 조절하는 파이프에서 발생했다.[23]

3. 1. 2. 사고 이후

사고 이후 K-19는 수리를 거쳐 함대에 복귀하면서 "히로시마"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다.[5]

1961년 7월 4일 사고로 핵분열 생성물을 포함한 방사성 증기가 배출되어 선박의 환기 시스템을 통해 다른 구획으로 확산되었다. 이로 인해 전체 승무원, 선박 대부분, 그리고 탑재된 일부 탄도 미사일이 방사선에 피폭되었다. 공학 부서 구성원 7명과 부서장은 사고 발생 후 한 달 안에 방사선 노출로 사망했으며, 이후 2년 안에 15명의 선원이 더 사망했다.[4]

사고 당시 원자로 수리반 8명의 명단과 사망일은 다음과 같다.

성명계급(직책)사망일생존 일수
보리스 코르칠로프중위 (원자로 기술 장교)1961년 7월 10일6일
유리 올도치킨일등병조1961년 7월 10일6일
예브게니 카셴코프이등병조1961년 7월 10일6일
니콜라이 사프킨수병1961년 7월 13일9일
발레리 하리토노프수병1961년 7월 15일11일
세묜 펜코프수병1961년 7월 18일14일
유리 포프스체프소령 (기관장)1961년 7월 22일18일
보리스 리지코프상급 병조1961년 7월 25일21일



이들은 사람의 치사량의 10배 이상에 달하는 선량(약 45~60시버트)에 노출되어 급성 방사선 증후군으로 3주 이내에 사망했다.[28] 이 외에도 14명의 승무원들이 2년 이내에 사망했고, 생존한 승무원도 방사선 장애로 진단되었다. 그러나 이들은 비밀 유지를 위해 방사선 장애가 아닌 "자율신경실조증"으로 처리되었다. K-19 사고는 오랫동안 은폐되었고, 승무원은 외부에 발설하지 않겠다는 서약을 했으며, 유족과 교체 요원에게도 알려지지 않았다. 이 사고가 일반에 알려진 것은 소련의 붕괴 이후이다.

모스크바 쿠즈민스코예 묘지의 위령비


이후 2년 동안 수리반은 손상된 원자로를 제거하고 교체했다. 이 과정에서 700m 이내의 구역과 수리반이 오염되었다. 소련 해군은 원래의 방사성 구획을 카라 해에 버렸다.[5]

3. 2. 1969년 충돌 사고

1969년 11월 15일 07시 13분, K-19는 바렌츠해 수심 60m에서 훈련하던 중 미 해군 공격원잠 SSN-615 가토와 충돌했다.[1] 이 사고로 K-19는 선수 소나 시스템이 완전히 파괴되고, 선수 어뢰 발사관 덮개가 손상되었다.[1] K-19는 비상 주 평형수 탱크를 작동시켜 수면으로 부상한 후, 항구로 돌아와 수리를 받고 함대에 복귀했다.[1] 가토는 비교적 손상되지 않아 순찰을 계속했다.[1]

3. 3. 1972년 화재 사고

1972년 2월 24일, K-19는 캐나다 뉴펀들랜드 섬에서 1300km 떨어진 수심 120m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잠수함은 수면으로 부상했고, 선원들은 선미 어뢰실에 갇힌 12명을 제외하고 해상 군함으로 대피했다.[1] 강풍으로 예인 작업이 지연되었고, 구조대는 기관실 상황 때문에 선미 어뢰실에 접근할 수 없었다.[1] 화재로 인해 K-19에 탑승한 선원 28명과 구조선으로 옮겨진 후 사망한 2명이 사망했다.[1] 수사관들은 화재가 뜨거운 필터에 유압유가 누출되어 발생한 것으로 결론 내렸다.[1]

구조 작전은 40일 이상 지속되었으며 30척 이상의 선박이 동원되었다.[1] K-19는 1972년 6월 15일부터 11월 5일까지 수리되어 다시 운항에 투입되었다.[1]

1972년 11월 15일, 6번 격실에서 또 다른 화재가 발생했지만, 화학 소화 시스템에 의해 진압되었고 사상자는 없었다.[2]

당시 화재 사고와 구조 과정은 미국 해군 P-3A 대잠 초계기에 의해 촬영되었다.

4. 후기 운용 및 퇴역

1979년 6월 26일, K-19는 통신함으로 재분류되어 KS-19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1982년 8월 15일, 전기 합선으로 승무원 2명이 화상을 입었고, 그중 한 명인 V. A. 크랍추크는 8월 20일에 병원에서 사망했다. 1985년 11월 28일, 658S형으로 성능이 개량되었다.

1990년 4월 19일, K-19는 퇴역했다. 1991년 6월 4일, 원자로에 다시 문제가 발생했으나, 오염이나 인명 피해는 없었다. 이 사고로 소련 정부는 START II에 따라 K-19의 퇴역을 결정했다.[4]

5. K-19를 소재로 한 작품


  • 1969년 작가 바실리 악쇼노프는 핵 사고에 관한 연극을 썼다.[15]
  • K-19: 위도우메이커 - 2002년 개봉한 미국의 영화. 캐스린 비글로우가 감독하고 해리슨 포드리암 니슨이 출연했다. 이 영화는 K-19의 1961년 사고를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나, 내용이 각색되어 많은 점에서 역사적 사실과 다르다는 이유로 전 승무원들의 항의를 받아 각본 일부가 변경되었다. 영화 제목에 나오는 "위도우메이커"라는 별명은 허구이며, 잠수함은 1961년 7월 4일 핵 사고 이후 "히로시마"라는 별명을 얻었다.[18]
  • K-19: Doomsday Submarine - 2002년에 제작된 다큐멘터리.
  • Lost Subs - Disaster at Sea - 2002년에 제작되었으며, 쿠르스크나 스레셔 등 잠수함 사고를 다룬 다큐멘터리.

6. 평가 및 의의

K-19는 냉전 시대 핵잠수함 개발 경쟁의 위험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받는다. 잦은 사고와 인명 피해는 핵 기술의 안전 문제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켰다.[4] 특히 1961년 7월 4일 사고 당시 승조원들의 희생은 핵 재앙을 막은 영웅적인 행동으로 평가받기도 한다. 당시 K-19는 북대서양에서 훈련 중이었는데, 우현 원자로 냉각 시스템에서 누출이 발생하여 냉각 펌프가 고장났다.[12] 제어봉은 자동으로 삽입되었지만, 원자로 온도는 800°C까지 치솟았다. 함장 니콜라이 블라디미로비치 자테예프는 임시 냉각 시스템을 제작하도록 명령했고, 이 과정에서 승무원들은 장기간 방사선에 노출되었다.[12] 이 사고로 방사성 증기가 유출되어 승무원, 선박, 탄도 미사일이 방사선에 피폭되었고, 공학 부서원 7명과 부서장이 사망했으며, 이후 2년 동안 15명이 추가로 사망했다.[4]

사고 원인에 대해서는 여러 주장이 제기되었다. 공식적인 설명에 따르면, 초기 건설 중 용접 결함으로 인해 냉각 시스템 배관에 균열이 발생했고, 이것이 고압을 견디지 못하고 파손되었다는 것이다.[6] 그러나 일각에서는 원자로 가동 시 압력 게이지를 부착하지 않아 냉각 파이프가 과도한 압력을 받았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2006년 2월 1일, 미하일 고르바초프소련 대통령노르웨이 노벨 위원회에 K-19 승무원들을 노벨 평화상 후보로 추천하기도 했다.[7]

참조

[1] 웹사이트 Historical overview http://www.submarine[...]
[2] 웹사이트 1958-60: The Construction of K-19 http://www.nationalg[...] National Geographic 2014-05-28
[3] 웹사이트 Ships, Champagne, and Superstition http://history1800s.[...] About.com 2014-05-26
[4] 웹사이트 Epilogue: Tragedy Upon Tragedy http://www.nationalg[...] National Geographic 2011-05-05
[5] 서적 Cold War Submarines.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U.S. and Soviet Submarines Potomac Books, Inc
[6] 웹사이트 K19 Widowmaker - A Nuclear Accident https://www.awesomes[...] 2015-02-24
[7] 웹사이트 Weapon: K-19 – distinguished award after 45 years http://old.lenta.ru/[...] Old.lenta.ru 2003-09-13
[8] 웹사이트 United States Nuclear Regulatory Commission "Lethal Dose" definition https://www.nrc.gov/[...]
[9] 뉴스 СУБМАРИНА, СБЕРЕГШАЯ МИР http://www.trud.ru/i[...] TPYд 2002-11-21
[10] 웹사이트 K19 Widowmaker – Secret Heroes https://www.awesomes[...] 2015-02-24
[11] 서적 Submarine disasters https://books.google[...] Lyons Press 2006
[12] 웹사이트 Russia scraps 'the Widowmaker' http://news.bbc.co.u[...] 2003-08-08
[13] 뉴스 Jambos chief Vlad splashes out on sub http://www.dailyreco[...] 2006-07-20
[14] 뉴스 Inspired by you: Mowgli, tartan shorts and a nuclear submarine – inside Romanov's Hearts https://theathletic.[...] 2023-03-26
[15] 문서 The poet Vasily Aksyonov thesis of Herbert Gantschacher for obtaining the academic title "Master of Arts" at the Academy, today University of Music and Performing Arts, Graz, Re / 1653/1988, July 1988
[16] 웹사이트 K-19: The Widowmaker https://www.imdb.com[...]
[17] 웹사이트 K-19 crew doubts real truth made it to reel https://www.chicagot[...] 2002-08-05
[18] 뉴스 Horror of Soviet Nuclear Sub 61' Tragedy Retold https://www.latimes.[...] 1994-01-03
[19] 웹사이트 K-19, prototype of Hollywood thriller, to be cut up https://english.prav[...] プラウダ 2002-07-26
[20] 문서 ソ連初にして世界初の[[弾道ミサイル潜水艦]](SSB)は[[通常動力型潜水艦]]の[[ズールー型潜水艦|611AV型(改ズールー型)]]、ソ連初の[[原子力潜水艦]]は[[ノヴェンバー型原子力潜水艦|627型(ノヴェンバー型)]]のK-3。ちなみに世界初の戦略ミサイル原子力潜水艦は[[アメリカ海軍|米海軍]]の[[ジョージ・ワシントン (原子力潜水艦)|ジョージ・ワシントン]]である
[21] 웹사이트 K-19 The History http://www.nationalg[...] 2024-02-12
[22] 웹사이트 K-19 The History http://www.nationalg[...] 2024-02-12
[23] 웹사이트 ベローナ報告 https://www.antiatom[...] 日本原水協 2024-02-12
[24] 웹사이트 Gorbachev Proposes Soviet Sub Crew For Nobel Peace Prize http://www.fas.org/s[...]
[25] 웹사이트 K-19 The History http://www.nationalg[...] 2024-02-12
[26] 웹사이트 K-19 The History http://www.nationalg[...] 2024-02-12
[27] 문서 赤ワインに含まれる多糖やポリフェノールが放射線障害に有効とする研究は存在するが、当時ザテエフが理解していたかは不明
[28] 웹사이트 УМЕР БЕЛОРУС, СПАСШИЙ МИР ОТ ЯДЕРНОГО ВЗРЫВА http://www.kp.ru/dai[...] コムソモリスカヤ・プラウダ 2024-02-12
[29] 웹사이트 10 Worst Cases of Radiation Poisoning https://abcnews.go.c[...] ABC NEWS 2024-02-12
[30] 뉴스 Jambos chief Vlad splashes out on sub http://www.dailyreco[...] The Daily Record
[31] 웹인용 «Own truth» http://www.soldierin[...] 2003-09-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